스튜디오 지브리의 대표작 중 하나인 〈모노노케 히메〉(1997,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는 단순한 애니메이션을 넘어, 인간과 자연, 그리고 공존의 가능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일본 개봉 당시 엄청난 흥행 성적을 기록했으며, 이후 전 세계적으로도 지브리 스튜디오의 이름을 각인시킨 영화다. 이 작품은 ‘환경 문제’라는 무거운 주제를 판타지적인 세계와 매혹적인 캐릭터들을 통해 풀어내며,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남긴다.
"살아라 그대는 아름답다"
주인공 아시타카는 마을을 위협하는 저주받은 멧돼지를 물리친 후, 그 과정에서 죽음의 저주를 얻게 된다. 저주를 풀기 위해 서쪽으로 향한 그는 숲의 신과 인간들이 맞부딪히는 세계에 발을 들인다. 그곳에서 그는 늑대에게 길러진 인간 소녀 산(모노노케 히메)을 만나고, 한편으로는 철을 캐기 위해 숲을 파괴하는 에보시 고젠과도 맞닥뜨린다. 숲을 지키려는 신들과 자연, 그리고 이익을 추구하는 인간들의 갈등 속에서 아시타카는 저주를 풀고자 하는 여정을 넘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길은 있는가라는 본질적인 물음과 마주하게 된다.
영화는 에미시 부족의 마지막 왕자 아시타카가 숲에서 나타난 정체불명의 ‘타타리신(저주받은 멧돼지)’과 마주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거대한 멧돼지는 몸 전체가 벌레 같은 검은 덩어리로 뒤덮여 있었고, 그 분노와 증오로 마을을 파괴하려 한다. 아시타카는 마을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지만, 그 과정에서 팔에 치명적인 저주가 새겨진다. 마을 무녀는 그 저주가 결국 아시타카를 죽음으로 이끌 것이라 말하고, 그는 부족을 떠나 서쪽 땅에서 답을 찾으라는 예언을 받는다. 그렇게 아시타카의 긴 여정이 시작된다.
여정을 이어가던 아시타카는 숲과 인간의 갈등이 벌어지는 세계에 도착한다. 숲에는 사슴의 얼굴과 신비로운 빛을 가진 **시시신(숲의 신)**이 존재하고, 그 숲을 지키는 거대한 늑대신 모로와 그에게 길러진 인간 소녀 **산(모노노케 히메)**이 있다. 산은 자신을 인간이 아닌 늑대로 여기며, 인간의 탐욕에 맞서 숲을 지키기 위해 맹렬히 싸운다. 반면 인간 쪽에는 ‘타타라 마을’을 이끄는 에보시 고젠이 있다. 그녀는 철을 캐기 위해 숲을 개간하고, 이를 통해 병자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삶을 주지만, 동시에 숲의 신들과 정면으로 대립한다.
아시타카는 우연히 이 두 세계의 한가운데에 서게 된다. 그는 산이 인간을 증오하며 에보시를 죽이려는 장면을 목격하고, 두 사람의 싸움을 막아 세상을 향해 이렇게 외친다. “증오는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한다. 나는 이 증오의 사슬을 끊고 싶다.” 그러나 그 말은 양쪽 모두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산은 인간을 배신자로 여겨 그를 경계하고, 에보시는 아시타카의 이상을 현실성 없는 말로 치부한다.
그 사이 숲과 인간의 갈등은 점점 격화된다. 멧돼지신 나고가 저주받아 괴물이 되었듯, 다른 멧돼지신 오키토나시도 인간과의 싸움 끝에 증오에 사로잡혀 몰락한다. 숲의 신들이 하나둘 무너져가는 가운데, 인간은 더 큰 권력을 얻기 위해 숲의 신의 머리를 노린다. 그 머리를 차지하면 불사의 힘을 얻을 수 있다는 전설 때문이다. 결국 에보시와 인간 군대, 숲의 신들이 얽히며 거대한 전쟁이 벌어진다.
마지막 장면에서 산은 아시타카에게 “나는 인간을 용서할 수 없다. 하지만 너와 함께라면 숲을 지킬 수 있을지도 몰라.”라고 말한다. 아시타카 역시 마을과 숲 사이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겠다고 답한다. 두 사람은 함께하지는 못하지만, 서로의 세계를 이해하며 떠나보낸다. 결국 영화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남긴 채 끝을 맺는다.
살고자 하는 인간과 살고자 하는 자연의 대결
〈모노노케 히메〉는 단순히 선과 악의 대립 구조를 보여주지 않는다. 숲을 지키려는 신들은 때로는 잔혹하고, 인간은 탐욕스럽지만 동시에 생존을 위해 움직인다. 살아가기 위해 자연을 개발하는 인간을 무조건 탓할 수는 없는 것이다. 미야자키 감독은 그 모호한 회색지대를 통해 ‘누가 옳고 그른가’라는 단순한 결론을 거부한다. 특히 산과 아시타카의 관계는 영화의 핵심이다. 서로 다른 세계에서 살아왔지만, 결국 두 사람은 서로를 이해하며 함께 길을 모색한다. 하지만 끝내 ‘같이 살지 못한다’는 결말은 관객에게 씁쓸하면서도 현실적인 울림을 남긴다.
영화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주고 관객이 스스로 답하게 한다. 답을 내리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그 질문이 더 오래 마음속에 남는다. 서로를 사랑하지만 늑대로서의 삶을 선택한 산과 그런 산을 이해하고 곁에서 기다려주기를 선택한 아시타카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다시 고찰하게끔 만든다.
인간과 자연은 공존할 수 있을까
흔히 자연 환경을 주제로 한 영화에서 자연을 개발하는 인간은 단순한 악역으로 비쳐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모노노케 히메에서 에보시 고젠은 숲을 파괴하는 악역처럼 보이지만, 그녀가 병자와 여성들을 보호하고 일자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악인’은 아니다. 산 역시 숲을 지키기 위해 인간을 공격하지만 부모에게 버림받아 늑대에게 길러진 상처받은 과거와 함께 아시타카에게 느끼는 사랑의 감정을 통해 입체적인 캐릭터로 그려진다.
영화 속 숲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하나의 ‘생명체’처럼 그려진다. 안개 낀 원시림, 숨을 내쉬는 듯한 거대한 신들의 모습, 그리고 황혼빛에 물드는 숲의 풍경은 1997년작임에도 불구하고 지금 보아도 전혀 낡지 않은 감각을 선사한다. 동물들을 단순한 짐승이 아닌 '신'에 대응하고 숲은 공간이 아닌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처럼 그려냈다. 영화는 자연을 수동적인 개체가 아닌 능동적이고 하나의 온전한 주체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모노노케 히메〉는 일본의 산업화와 환경 파괴 문제에서 영감을 얻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룬 일본이 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할 것인지에 대한 감독의 고민이 담겨 있다. 이는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라, 오늘날 지구 환경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결국 이 영화는 “인간은 자연과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관객이 스스로 답을 찾아가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