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바웃 타임》(About Time, 2013)은 리처드 커티스(Richard Curtis) 감독이 연출한 로맨스 판타지 영화다. 감독은 이미 《러브 액츄얼리》, 《노팅 힐》 등으로 낭만적이고 감성적인 스토리텔링을 선보여온 인물이다. 영화는 ‘시간여행’이라는 판타지적 설정을 중심에 두고 있지만, 단순히 과거를 바꾸는 로맨스가 아니라 ‘일상의 소중함’과 ‘삶을 대하는 태도’를 이야기한다. 실제 개봉 당시 평단에서는 다소 뻔한 설정이라는 지적도 있었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특히 후반부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다룬 장면은 많은 이들을 울렸다. 지금도 인생 영화로 꼽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사랑과 가족, 삶에 대한 메시지를 따뜻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시간을 마음것 되돌릴 수 있는 남자
주인공 팀(도널 글리슨)은 평범한 청년이다. 21살 생일에 아버지로부터 놀라운 사실을 듣게 된다. 그의 집안 남자들은 모두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팀은 처음엔 믿지 않지만, 곧 능력을 직접 경험하고는 놀란다.
그는 이 능력을 활용해 사랑을 얻고자 한다. 우연히 만난 메리(레이첼 맥아담스)과 사랑에 빠져 자신이 가진 능력을 이용해 결국 결혼까지 골인한다. 결혼 후에도 능력을 이용해 삶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지만 능력에 한계가 있음을 알게된다. 그렇게 능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점차 배우게 된다.
시간을 되돌리면 죽은 사람까지도 다시 만날 수 있지만 결국 이 능력도 한계가 있다. 셋 째의 출산을 앞두고 팀은 마지막으로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아버지는 단번에 팀이 능력을 사용해 자신을 만나러 왔음을 알게되고 부자는 마지막으로 어릴 때 그랬듯이 해변을 거닐며 마지막 추억을 만든다.
팀은 아버지에게 들은 조언을 통해 능력을 사용해 인생을 극적으로 바꾸는 것이 아닌, 하루하루를 되새기며 삶의 소중함과 일상의 작은 즐거움을 느끼는데 사용한다.
혹시 이게 마지막이니?
영화는 런던과 해변 마을을 배경으로, 잔잔하면서도 따뜻한 색감을 사용한다. 붉은 석양, 흐린 날씨 속의 미소, 가족과 함께 나누는 식탁의 따뜻한 조명. 그 모든 것이 삶의 평범한 순간들을 특별하게 보이게 한다.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나 역시 평범한 하루가 얼마나 소중한지 새삼 깨달았다. 늘 똑같다고 생각했던 저녁 식사, 친구와의 짧은 대화가 영화의 화면처럼 아름답게 다가왔다.
줄거리만 보면 시간여행을 통한 로맨스 같지만, 영화의 핵심은 "시간을 바꾸는 게 아니라, 지금을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있다. 팀은 능력을 쓰면서도 점점 깨닫는다. 시간을 되돌려도 삶의 본질은 변하지 않고, 오히려 현재를 더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것을.
이 메시지는 내 삶에도 깊게 와닿았다. "만약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면…" 하고 후회한 적이 많았다. 하지만 좋든 싫든 그 떄의 내 결정이, 지금의 나를 만든 것이다. 지난 과거를 붙잡는 대신, 앞날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정하고 시간의 소중함을 느끼며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영화에서 정말 중요한 장면을 하나 꼽자면 첫사랑인 샬롯(마고 로비)의 유혹을 뿌리치고 팀이 집으로 달려가 메리에게 청혼하는 장면이다. 능력이 있음에도 사랑하는 이를 기만하는 것이 아닌 진심으로 사랑하는것. 사고뭉치 어린아이 같았던 주인공을 진심으로 응원하게 만드는 장면이었다.
도널 글리슨은 서툴지만 따뜻한 청년을 설득력 있게 연기했다. 그의 미소와 어설픈 몸짓은 현실적인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레이첼 맥아담스는 사랑스럽고 현실적인 여성 캐릭터를 자연스럽게 소화했다. 무엇보다 빌 나이가 연기한 아버지 캐릭터는 인생의 지혜와 따뜻한 유머를 동시에 보여주며, 영화의 감정을 완성시켰다.
똑같은 하루를 두 번 살아보아라
시간여행은 결국 "현재를 제대로 살아라"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장치다. 과거를 바꾸려는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영화는 결국 그 욕망이 헛되다는 걸 보여준다. 중요한 건 시간을 되돌리는 능력이 아니라, 주어진 오늘을 어떻게 대하느냐이다.
로맨스뿐만 아니라, 가족의 이야기가 영화의 큰 축을 이룬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 부모가 자식에게 전하는 삶의 태도는 관객 모두에게 공감을 준다. 나 역시 부모님과 보낸 평범한 하루하루가 얼마나 소중한지, 이 영화를 보고 난 뒤 더 깊이 느꼈다.
우리는 늘 "내일은 더 나을 거야"라며 오늘을 대충 흘려보내기 쉽다. 하지만 영화는 말한다. "오늘이 곧 인생이다." 반복되는 일상 속 작은 순간이 결국 우리의 삶을 이룬다. 영화를 본 후 과거를 붙잡는 대신 현재를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나는 이 영화를 보며 깨달았다.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무엇을 바꾸겠냐는 질문 대신, 지금 이 순간을 어떻게 살겠냐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