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9

페르소나(1966)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가면 뒤의 진짜 나> 개봉: 1966감독: 잉마르 베리만장르: 드라마, 심리출연: 비비 안데르손, 리브 울만평점: 메타크리틱 86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91%《페르소나》는 인간 내면의 분열과 자아의 경계를 탐구하는 잉마르 베리만의 대표작이다. 대사보다 침묵이, 행동보다 응시가 많은 이 영화는 인간이 ‘자신’과 마주할 때 얼마나 불안하고도 복잡한 존재인지를 냉정하게 드러낸다. 스크린 속 두 여성의 얼굴은 점점 하나로 겹쳐지고, 관객은 그 경계가 무너지는 순간 인간의 본질을 목격한다.침묵 속의 두 얼굴 무대 위 배우 엘리자베스는 공연 중 갑자기 말을 잃는다. 의사는 그녀에게 신경적 증상이라 말하며 요양을 권한다. 병원에서는 간호사 알마가 그녀의 간병을 맡게 된다. 처음엔 환자와 간호사의 관계로 시작하지만, 둘은 함께 시간을 보.. 2025. 10. 27.
그린북(2018)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개봉: 2018년감독: 피터 패럴리장르: 드라마출연: 비고 모텐슨, 마허샬라 알리, 린다 카델리니평점: 메타크리틱 69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94%《그린북》은 1960년대 인종 차별이 짙게 드리워진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서로 다른 세계에서 온 두 남자의 여정을 그린 실화 기반의 감동 드라마다. 거칠지만 따뜻한 운전사 토니와 고결하고 고독한 피아니스트 셜리 박사가 함께 떠나는 투어는, 차별과 편견의 벽을 넘어 진정한 인간애와 신뢰로 이어진다.편견의 도로 위를 함께 달리다 1962년 뉴욕 브롱크스의 클럽 경비원 토니 발레롱가, 일명 ‘토니 립’은 가족을 위해 일하며 살아가는 평범한 이탈리아계 남성이다. 그의 일상은 소박하지만, 한 통의 제안으로 흔들린다. 흑인 피아니스트 돈 셜리 박사가 남부 순회공연을 .. 2025. 10. 26.
살인의 추억(2003)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당신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개봉: 2003년감독: 봉준호장르: 범죄, 스릴러, 드라마출연: 송강호, 김상경, 박해일, 변희봉, 송재호평점: 메타크리틱 82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91% 《살인의 추억》(2003)은 1980년대 후반 화성 연쇄살인사건을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봉준호 감독의 이름을 세계 영화계에 각인시킨 대표작이다. 농촌의 정적과 불안, 그리고 수사 과정의 무력함이 교차하는 이 영화는 단순한 범죄 영화의 틀을 넘어 사회 시스템의 부조리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당시 한국 사회의 억눌린 공기와 시대적 어둠을 사실적으로 담아내며, 관객으로 하여금 ‘진실’이란 무엇인가를 되묻게 한다.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하지만, 봉준호는 범인의 존재보다 그를 쫓는 인간들의 내면을 통해 ‘악의 근원’을 탐색한다.끝이 없는 추.. 2025. 10. 25.
8마일(2002)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에미넴의 실제 이야기> 개봉: 2002년감독: 커티스 핸슨 (Curtis Hanson)장르: 드라마, 음악출연: 에미넴, 킴 베이싱어, 브리트니 머피, 미키 파이퍼, 안소니 맥키평점: 메타크리틱 77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75% 《8마일》은 한 젊은 래퍼가 가난과 편견, 불안한 현실 속에서도 자신만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이야기다. 에미넴의 실제 삶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단순한 음악 영화가 아닌,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두려움과 도전, 그리고 자존심의 서사다. 극 중 ‘지미 스미스 주니어(래빗)’의 여정은 곧 에미넴 자신의 청춘기와 맞닿아 있으며, 언더그라운드 무대에서 세계적인 래퍼로 성장하기까지의 치열한 자기 증명기를 보여준다. ‘8마일’이라는 물리적 경계는 동시에 사회적 장벽이며, 영화는 그 벽을 뛰어넘으려는 한 인.. 2025. 10. 24.
대부2(1974)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개봉: 1974감독: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장르: 범죄, 드라마출연: 알 파치노, 로버트 드 니로, 다이앤 키튼, 존 카젤, 로버트 듀발평점: 메타크리틱 90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96% 《대부2》는 가족과 권력, 피와 신의 이름으로 얽힌 제국의 서사를 통해 ‘성공’과 ‘고립’의 역설을 드러내는 영화다.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는 전작의 서사를 뛰어넘어, 젊은 비토의 과거와 마이클의 현재를 교차시킴으로써 한 가문의 흥망사를 거대한 시간의 원으로 그려낸다. 마피아 제국의 성장과 몰락이 한 인간의 영혼과 함께 타락해가는 이 서사는, 권력의 냉혹한 그림자를 가장 인간적인 비극으로 풀어낸 명작으로 평가받는다.권력의 신화와 인간의 몰락 《대부2》는 두 개의 시대를 병렬적으로 전개한다. 하나는 20세기 초 시칠리아에서.. 2025. 10. 23.
워 호스(2011)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개봉: 2011년감독: 스티븐 스필버그장르: 전쟁, 드라마출연: 제러미 어바인, 에밀리 왓슨, 톰 히들스턴, 베네딕트 컴버배치평점: 메타크리틱 72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74% 《워 호스》는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거대한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 말과 한 소년이 서로를 향한 믿음으로 끝내 재회하는 감동적인 이야기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특유의 인간미 넘치는 연출과 웅장한 영상미, 그리고 생명과 희망의 메시지가 어우러져 전쟁 영화의 틀을 넘어선 휴머니즘 서사를 완성한다. 전쟁이 모든 것을 파괴해도 인간과 동물 간의 순수한 유대는 끝내 꺾이지 않는다는 신념이 이 영화의 중심에 있다.우린 다시 만날거야 영국 시골의 농가에서 자란 소년 알버트는 아버지가 충동적으로 사들인 망아지 ‘조이’와 첫눈에 깊은 유대.. 2025. 10. 22.
동경 이야기(1953)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개봉 : 1953년감독 : 오즈 야스지로장르 : 드라마, 가족출연 : 류 치쇼, 하라 세츠코, 야마무라 소, 스구이 하루코평점 : 메타크리틱 100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100% 《도쿄 이야기》는 일본 노부부가 도쿄에 사는 자녀들을 찾아오면서 시작되는 이야기이다. 큰사위와 며느리, 손주들이 살아가는 도쿄의 일상 속에 부모는 잠시 머물며 가족이라는 이름의 온도를 확인하지만, 도시의 빠른 삶의 리듬 속에서 그들의 존재는 어느새 뒷자리가 된다. 이 영화는 눈에 띄는 갈등이나 극적인 사건 없이도, 말없이 흐르는 침묵과 시선만으로 가족과 세대의 거리를 보여준다. 오즈 야스지로는 높지 않은 카메라 시점과 고요한 정적을 통해 노년의 어른들이 느끼는 쓸쓸함, 그리고 자식 세대의 바쁜 삶 속에서 점차 잊혀가는 부모의 .. 2025. 10. 19.
스카페이스(1983)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돈, 권력 그리고 사랑에 대한 이야기> 개봉: 1983년 12월감독: 브라이언 드 팔마장르: 범죄 / 드라마출연: 알 파치노, 미셸 파이퍼, 스티븐 바우어 외평점: 메타크리틱 65점 / 로튼토마토 신선도 79% 《스카페이스》는 1980년대 마이애미를 배경으로, 쿠바 난민 출신의 남자가 밑바닥에서 마약왕으로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거칠게 그린 범죄 드라마다. 그러나 이 영화의 진짜 핵심은 성공의 찬란함이 아니라, 그 뒤에 도사린 욕망과 파멸의 어두운 그림자에 있다.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은 화려한 색채와 폭발적인 연기로 인간의 탐욕을 시각화했고, 알 파치노는 그 욕망의 화신을 온몸으로 연기했다.밑바닥에서 정상까지, 그리고 추락으로 이어진 욕망 영화의 주인공 토니 몬태나는 1980년 마리엘 보트리프트를 통해 쿠바에서 미국으로 넘어온 난민이다. 미국의.. 2025. 10. 18.
알라딘(2019) 영화 정보 | 평점 | 결말 | 리뷰 <완전히 새로운 세상> 개봉연도: 2019감독: 가이 리치장르: 모험, 가족, 판타지, 뮤지컬, 멜로/로맨스출연: 메나 마수드, 나오미 스콧, 윌 스미스, 마르완 켄자리평점: 메타크리틱 메타스코어 53점, 로튼토마토 신선도 57% 빈민가 소매치기 소년 알라딘은 우연히 요술램프를 손에 넣고, 요정 지니의 힘을 빌려 자신과 왕국의 운명을 뒤바꿀 모험에 뛰어든다. 한편, 궁궐 속에 갇힌 듯한 공주 자스민은 단지 명목상의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삶을 개척하려는 꿈을 품는다. 《알라딘》은 시각적으로 화려한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모험, 자유와 정체성의 갈등, 사랑과 책임의 무게를 노래하며, 무엇보다도 ‘더 넓은 세계’를 향한 갈망을 노래하는 뮤지컬 영화다.가진게 없을 때 오히려 다 가진 것처럼 행동해야 해 아그라바 왕국의 거리 빈민가, .. 2025. 10. 17.